상단영역

본문영역

'봄날'을 꿈꾸는 루저아빠에게 '제2의 전성기'는 올까요?

인생의 희로애락 살린 손현주의 탁월한 연기 압권

'봄날', 사진제공=콘텐츠판다
'봄날', 사진제공=콘텐츠판다

조금씩 바뀌고는 있지만, 대한민국에서 장례식은 남성, 그중에서도 장남을 위주로 진행된다. 망자(亡者)의 장남은 장례식을 주관하는 상주를 맡고, 빈소를 찾는 조문객이나 장례를 진행하는 장례식장 측 모두 상주를 우선으로 찾곤 한다.

영화 ‘봄날’의 주인공 호성(손현주)도 장남이다. 교도소에서 8년간 복역한 그는 동생 종성(박혁권)이나 딸 은옥(박소진), 아들 동혁(정지환) 등 가족 모두에게 애물단지 취급을 받지만, 장남이라는 이유로 아버지의 장례식에서 굴건을 쓰고 완장을 찬 채 조문객을 맞는다. 아마 어머니(손숙)를 제외한 다른 가족들은 호성이 상주만 아니라면 장례 기간 내내 어느 구석에 조용히 박혀 있길 바랐을 것이다. 

장례 기간 내내 눈물 한 방울 내비치지 않을 만큼 아버지의 죽음에 별 감정이 없어 보이는 호성에게 이 장례식은 하나의 기회다. 관혼상제를 중시하는 유교의 나라에서, 유족에게 부고를 받았다면 관계를 끊을 각오가 아닌 이상 장례식을 찾아야 하는 게 ‘국룰’이다(피치 못하게 조문을 못할 경우엔 조의금이라도 보내야 한다). 그렇기에 호성은 기대한다. 8년이나 교도소에 있으면서 조직의 끈은 떨어졌지만 장례식에 찾아올 조직 식구들, 특히 조직에서 어느 정도 위치를 잡은 후배 석주(허정도)가 자신에게 한자리 챙겨줄 것이라고. 그래서 제2의 전성기, ‘봄날’을 맞을 수 있을 것이라고. 

'봄날', 사진제공=콘텐츠판다
'봄날', 사진제공=콘텐츠판다

그러나 삶은 냉혹하다. 호성의 생각에 조직은 호성에게 신세진 게 톡톡한데, 조직은 한물 간 호성에게 뭔가를 내어줄 생각이 없다. 그나마 ‘경사는 못 가더라도 조사는 꼭 가야 한다’는 말이 통용되는 대한민국이기에 석주를 비롯해 조직 후배들이 화환을 보내고, 장례식을 찾아 조의를 한 것이리라. 조직이 자신을 챙기지 않을 것이란 사실을 확인한 호성은 기발한 발상을 한다. 장례식장을 찾은 조직원들에게 조의금을 담보로 게임비를 빌려주며 장례식장을 ‘하우스’로 변신시킨 것. 몇 년 전만 해도 상갓집이 시끄러워야 망자가 이승에 미련을 남기지 않고 편하게 떠난다는 장례문화로 고스톱을 치며 밤샘을 하는 모습이 많았기에 가능했던 발상이기도 하다. 경쟁 관계의 조직원들까지 이 ‘하우스’를 찾으면서, 장례식장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소용돌이로 변한다. 

‘봄날’에서 장례식장이 아수라장이 되는 건 깡패 출신 호성의 대책 없는 아이디어에서 기인하지만, 실제로 장례식장은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는 공간이다. 가족을 잃은 유족의 슬픔과 회한, 쌓이는 돈(조의금)과 나가야 할 돈(장례식장과 장례용품 등 금액으로 결정되는 일련의 절차들)이 빚어내는 묘한 파장, 다양한 인간 군상이 모인 가운데 이리저리 얽힌 망자와 유족과 조문객의 관계성, 세상을 뜬 망자와 달리 앞으로 살아가야 할 사람들의 욕망과 의지가 집약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식장을 떠도는 이런 감정과 관계 중 무엇 하나라도 부딪치면 그 즉시 파열음이 날 수밖에 없다. 게다가 장례식장은 술도 풍족(!)하고, 싫은 감정의 사람들끼리도 대면해야 하며, 여차하면 집어 던지기 좋은(!) 화환들도 한 무더기 아닌가. 사건사고가 일어나기에 이만큼 좋은 조건도 없다. 

물론 ‘봄날’의 장례식장에 사건사고만 있는 건 아니다. 장례식을 직접 경험하지 않았어도 간접적으로, 그리고 한국인의 DNA에 아로새겨진 감정을 건드리며 웃음을 유발하는 장면이 곳곳에 산재해 있어 전반적인 분위기는 코믹하다. 특히 뒤늦게 호성과 종성의 외삼촌(장용)이 도착했을 때의 장면이나 호성의 동네 친구 양희(정석용)가 무덤 앞에서 춤사위를 벌이는 장면에선 나도 모르게 폭소가 터질 것이다. 맞다, 폭소가 터진다. ‘삶은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지만, 멀리서 보면 희극’이라던 찰리 채플린의 불멸의 어록을 ‘봄날’은 생생히 재현한다. 생각해보면 장례식을 다룬 영화들은 언제나 희로애락을 풍성히 담아내는 가운데 결코 웃음을 놓치지 않았다. 대표적인 영화 ‘학생부군신위’와 ‘축제’는 물론이요, 오랜만에 한데 모인 가족들의 수만 가지 감정이 폭주하는 ‘괴물’의 합동분향소 장면은 그야말로 ‘웃픈’ 감정의 백미였지 않나. 

'봄날', 사진제공=콘텐츠판다
'봄날', 사진제공=콘텐츠판다

한정적인 공간에서 이뤄지는 이야기인 만큼 ‘봄날’은 배우들의 빼어난 연기가 주요하게 작용한다.특히 손현주는 이 영화의 절대적인 중심추. 손현주가 연기 잘하는 것이야 누가 모를까. 그러나 경상도도 전라도도 아닌 충청도 사투리로 느릿느릿하게 온갖 감정을 쥐락펴락 변주해 가는 손현주의 모습은 우리가 익숙히 알고 있던 손현주의 모습과는 또 다르다. 계획된 것이 어그러졌을 때 비어져 나오는 참담한 아비의 모습, 잠에서 깨어 홀로 부모의 빈 집에서 터트리는 오열 신을 보고 있다 보면 새삼 감탄하게 된다. 아, 손현주는 정말 연기를 잘하는구나. 어디로 튈지 모르는, 목소리 크고 오지랖 넓은 양희 역의 정석용은 신스틸러 역할을 톡톡히 한다. 

‘학생부군신위’는 박철수 감독이 부친상 당시 겪었던 경험을 담았고, ‘축제’는 원작자인 소설가 이청준이 모친을 떠나보내며 겪은 자전적 이야기가 녹아 있다. 이돈구 감독의 ‘봄날’은 감독의 할아버지 장례식 때 기억이 모티프가 되었다고 한다. 장례식을 다룬 영화들 대부분이 창작자의 자전적 경험이 강하게 뒷받침되는 건 실로 당연하다. 상상이나 취재로는 미처 알기 힘든 감정들이 응집되는 곳이 장례식이니까. 폭포수처럼 눈물을 쏟다가도 뒤돌아서면 화환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배치해야 할지 궁리하고, 시시때때 들이닥치는 조문객을 맞아 황망하게 절을 하는 순간에도 조문객의 옷차림이 눈에 들어오고, 퉁퉁 부은 눈으로 조문객 명부를 보며 흥분했던 경험을 겪어본지라 ‘봄날’은 무척 흥미로웠다. 설령 비슷한 경험이 없더라도, 이 영화가 말하는 가족애라든가 지나간 전성기를 그리워하는 중년의 쓸쓸함이 보는 이의 감정을 건드리는 지점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아이즈(iz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